주가수익비율(PER, 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PER)은 주가가 그 회사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
주가를 1주당 순이익(EPS)으로 나눈 것이다.
PER=주가/1주당 당기순이익(납세후)=주가/EPS
즉, 어떤 기업의 주식가격이 10,000원이라고 하고, 1주당 수익이 1,000원이라면 PER는 10이 된다.
특정 기업이 얻은 순이익 1원을 증권시장이 얼마의 가격으로 평가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인데, 투자자들은 이를 척도로 서로 다른 주식의 상대적 가격을 파악할 수 있다.
해당기업의 순이익이 주식가격보다 크면 클수록 PER가 낮게 나타난다.
따라서 PER가 낮으면 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다는 것이므로, 그만큼 기업 가치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 되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반대로 PER가 높으면 이익에 비하여 주가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업종별로 차이가 있고, 절대적인 기준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PER가 10이하(주가가 1주당 순이익의 10배이내)일 경우 '저(낮은)PER주'로 분류된다.
PER 지표는 한 주의 수익비율로써 직관적으로 알아보기 편리하다.
- PER가 높은 경우
1. 주당순이익은 평균수준이지만, 주가가 높은 경우
> 현재 이익보다 주가가 높게 측정, 시장에서 장래성을 인정받고 성장하는 기억
2. 주가는 평균수준이지만 주당순이익이 낮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 주당순이익이 감소한 기업 - PER가 낮은 경우
1. 주당순이익은 평균수준이지만 주가가 낮은 경우
> 현재 이익보다 주가가 낮게 측정되어 시장에 소외받는 기업
2. 주가는 평균수준이지만 주당수이익이 높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 현재 이익보다 주가가 낮게 측정되어 시장에 소외받고 있지만, 곧, 관심을 받을 기업
3. 주가가 매우 낮고 주당순이익이 증가되는 경우
> 현재 이익보다 주가가 낮게 측정되어 시장에 소외받고 있지만, 곧, 관심을 받을 기업(턴어라운드기업)
예시>
주가 10만원
주당순이익(EPS) 5만원
일 경우
PER는 주가10만원/EPS 5만원=2